子 | 학조(學祖) |
도호(道號) | 등곡(燈谷) |
| 속명은 영형(永衡) 법명(法名)은 학조(學祖) 도호(道號)는 등곡(燈谷) |
| 또 황악산인(黃岳山人) 세조때 국사(國師) 였다. 학가산(鶴駕山) 중대 |
| 사(中臺寺)에서 출가하였으며 삼성산(三聖山) 삼막사(三幕寺) 등곡대(燈谷 |
| 臺)에서 득도(得道) 하였다 신미(信眉) 학열(學悅)과 같이 월인석보(月 |
| 印釋譜)를 간행 하였다. 1464년 세조 10년 복천암(福泉庵)에서 왕을 |
| 모시고 대법회(大法會)를 열었다 또 천수경언해(千手經諺解)를 펴냈다 또 |
| 인수대비(仁粹大妃)의 명을 받을어 육조법보단경(六祖法寶壇經) 진언권공삼 |
| 단시식문(眞言勸供三壇施食文) 천지명양수륙잡문(天地冥陽水陸雜文)등 언해를 |
| 인출하였다 또 신비(愼妃)의 명을 받아 승도(僧徒) 108명으로 대장경( |
| 大藏經) 3부를 인경(印經) 하였고 자성대비(慈聖大妃)의 명을 받들어 금 |
| 강경삼가해(金剛經三家解) 남명집언해(南明集諺解)등을 인출하였고 불정심경언 |
| 해(佛頂心經諺解) 오대진언언해(五大眞言諺解) 영험략초언해(靈驗略初諺解) |
| 반야심경언해(般若心經諺解)등을 간행하였다 중종 갑술 1514년 학가산(鶴 |
| 駕山) 광흥사(廣興寺) 애련암(愛蓮庵)에서 입적하였다 부도(浮屠)는 속리 |
| 산(俗離山) 복천암(福泉庵)에 있다(보물 제1418호) 영정(影幀)은 장 |
| 성(長城) 백양사(白羊寺)와 합천(陜川) 해인사(海印寺)에 있다 |
Warning: mysql_num_rows(): supplied argument is not a valid MySQL result resource in /home/andong/www/mo/person.php on line 26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