系子 | 상헌(尙憲) |
생부(生父) | 극효(克孝) |
자(字) | 숙도(叔度) |
호(號) | 청음(淸陰) |
시호(諡號) | 문정(文正) 勤學好問曰 文 以正服之曰 正 배우기에 부지런하고 묻기를 좋아 |
| 한다 하여 문이라 하고 정도로써 사람들을 복종시킨다 하여 정이라 한다. |
생(生) | 1570년 경오(庚午) 06월 03일 |
관직(官職) | 경인(庚寅)진사(進士) |
| 병신(丙申)문과(文科) |
| 무신(戊申)문과(文科) |
| 광주(廣州)목사(牧使) |
| 대사성(大司成) |
| 대사간(大司諫) |
| 병조(兵曹)참판(叅判) |
| 대사헌(大司憲) |
| 함경도(咸慶道)관찰사(觀察使) |
| 대제학(大提學) |
| 형조(刑曹)판서(判書) |
| 예조(禮曹)판서(判書) |
| 공조(工曹)판서(判書) |
| 이조(吏曹)판서(判書) |
| 좌의정(左議政) |
| 증(贈)영의정(領議政) |
저서(著書) | 야인담록(野人談錄) 독례수초(讀禮隨鈔) 남사록(南槎錄) 청음집(淸陰集) |
| 선조경인년 진사(宣祖庚寅進士)에 급제하고 병신년 문과(宣祖丙申文科)에 급 |
| 제하였다. 광해무신중시(光海戊申重試)에 입격하고 호당(湖堂)에서 사가독서 |
| (賜暇讀書)를 하였으며 대제학(文衡)을 맡았다. 청백리(淸白吏)에 뽑혔다 |
| . 인조병자년(仁祖丙子年)에 인조를 호종(扈從)하여 남한산성(南漢山城)에 |
| 들어가서 화의를 반대하고(斥和議) 통곡하며(哭裂) 국서(國書)를 찢었다 |
| . 심양 감옥(拘瀋獄)에서 六년간 갇혀있었으나 끝내 굽히지 않았다(終不屈 |
| ). 을유환국(乙酉還國)에 좌상(左相)이되었다. 壽八十三세 영상(領相)을 |
| 증직 받았다. 효종세실묘정(孝宗世室廟庭) 배향(配享) 양주석실(楊州石室 |
| ) 송도숭양(松都崧陽) 정주(定州) 봉명(鳳鳴) 제주(濟州) 귤림(橘林) |
| 종성(鍾城) 종산(鍾山) 상주(尙州) 서산(西山) 정평(定平) 망덕서원 |
| (望德書院) 안동(安東) 서간(西磵) 광주(廣州) 현절(顯節) 의주(義州 |
| ) 기충(紀忠) 예안(禮安) 운계사(雲溪祠)에 배향(配享)되어 있다.16 |
| 61년(현종 2)효종 묘정에 배향되었다 |
졸(卒) | 1652년 임진(壬辰) 06월 25일 |
묘(墓) |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석실(石室) 신천부군조(信川府君兆) 다음 1987 |
| 년 2월 12일 경기도의 기념물 제100호로 지정되었다 |
| 지(誌)는 우암(尤菴) 송시열(宋時烈)이 짓고 갈(碣)은 손자(孫子) 수 |
| 증(壽增)이 썼다. 명(銘)은 자술(自述) 하였고 후서(後序)는 우암(尤 |
| 菴)이 짓고 동춘(同春) 송준길(宋浚吉)이 썼다. |
| 계좌(癸坐) |
Warning: mysql_num_rows(): supplied argument is not a valid MySQL result resource in /home/andong/www/mo/person.php on line 26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