子 | 상용(尙容) |
자(字) | 경택(景擇) |
호(號) | 선원(仙源) |
시호(諡號) | 문충(文忠)으로 충(忠)은 충성스럽고 예로써 손님을 대함을(忠信接禮) 문 |
| (文)이라 하고 자기 몸이 위태로우면서도 임금을 받듦을 충(忠)이라 한다 |
| (危身奉上) |
생(生) | 1561년 신유(辛酉) 05월 09일 |
관직(官職) | 임오(壬午)진사(進士) |
| 경인(庚寅)문과(文科) |
| 한원(翰苑) |
| 기사(耆社) |
| 우의정(右議政) |
| 증(贈)영의정(領議政) |
저서(著書) | 선원유고(仙源遺稿) 연보(年譜) |
| 인조정축 청인(淸人)이 침입하자 어가(御駕)가 장차 서북쪽으로 가려고 원 |
| 임대신(原任大臣)에게 신주와 왕비와 원손(元孫)을 모시고 먼저 강화성으로 |
| 가도록 명하였다. 성이 함락되자 성벽에 해는 강가에 저무는데 신의 힘으 |
| 로는 어찌할 수 없구나라고 크게 쓰고(大書) 정월 22일 남쪽 문루에 올 |
| 라 화약궤(火藥櫃)에 불을 던져 분사(焚死) 하였다. 13세 손자 수전( |
| 壽全)과 종인(從人) 안선승(安善承)이 같이 죽었다.부조(不조)를 명하고 |
| 정려(旌閭)토록 하였다. |
묘(墓) | 양주 석실(楊州石室) 서윤공조(庶尹公兆) 오른쪽 기슭에 입던 옷으로 장사 |
| 하였다 |
| 묘지(墓誌)는 자술(自述) 하였고 후서(後序)는 사위 우의정(右議政) 장 |
| 유(張維)가 지었다. 신도비(神道碑)는 좌의정(左議政) 상헌(尙憲)이 |
| 지었고 질서(侄婿) 부사(府使) 유시정(柳時定)이 썼으며 아들 참판(叅判 |
| ) 광현(光炫)이 전(篆) 하였다. 강화(江華) 충렬사(忠烈祠)에 모시 |
| 고 향사를 올린다 .남문(南門) 에는 순의비(殉義碑)를 세웠는데 비문은 |
| 종증손(從曾孫) 대제학(大提學) 창협(昌協)이 지었고 음기(陰記)는 종손 |
| (從孫) 참판(叅判) 수증(壽增)이 썼고 종증손(從曾孫) 영의정(領議政) |
| 창집(昌集)이 전(篆) 하였다 |
| 건좌(乾坐) |
Warning: mysql_num_rows(): supplied argument is not a valid MySQL result resource in /home/andong/www/mo/person.php on line 266